로고

사단법인 한국재사용빈용기순환협회
로그인 회원가입
  • 사업소개
  • 보도자료 및 홍보자료
  • 사업소개

    보도자료 및 홍보자료




    이용자 만족도 높은 '빈병 무인 회수기' 192대 뿐(조선일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245회   작성일Date 24-09-19 18:34

    본문

    이용자 만족도 높은 '빈병 무인 회수기' 192대 뿐

    0
    지난 22일 서울역에 있는 무인 회수기를 통해 한 이용자가 빈병을 반납하는 모습/김지혜 인턴기자
    지난 22일 서울역에 있는 무인 회수기를 통해 한 이용자가 빈병을 반납하는 모습/김지혜 인턴기자

    서울 강북구에 거주하는 정창경(25)씨는 공병을 집 앞 마트에 반환할 때마다 주인과 실랑이를 겪을 때가 많다. 그는 “가게에서 빈 병 보관·처리가 어렵다며 귀찮아하는 때도 있고 반납 시간도 정해져 있어 불편하다”고 했다.

    정부가 빈 병 반환율을 높이기 위해 ‘무인 회수기’ 사업을 10년째 운영 중이지만, 정작 기계 설치가 적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인 회수기는 병을 넣으면 자동 회수되는 기계로 병 종류를 구분 인식해 금액도 알아서 계산된다. 2015년 국내에 처음 도입됐다. 무인으로 운영되니 점주 눈치를 볼 필요가 없고 도·소매점에 반환 할 때처럼 취급 제한(1인당 30병)도 없어 이용자 만족이 높다.

    그러나 환경부에 따르면 국내에 설치된 빈병 무인 회수기는 192대에 불과하다. 그마저도 대부분이 수도권(110대)에 집중돼 있다. 대구, 광주, 대전, 제주 등 주요 지역에도 1~2대 뿐이다.

    설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건 비용 문제 때문이다. 무인 회수기를 설치하려면 2000만~3000만원가량이 든다. 제도 도입 초기에는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가 비용을 전액 부담했지만, 2019년부턴 60~80%만 부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설치를 원하는 곳에서 400만~1200만원을 부담하고 유지·보수비도 내야한다. 올해 무인회수기 설치를 신청한 곳은 전국을 통틀어 9곳 뿐이었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 측은 “특정 브랜드 도·소매점에 설치가 쏠렸다는 문제 제기 등 탓에 일부를 부담케 한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무인 회수기의 효과가 이미 입증된 만큼 관련 예산을 늘리거나 지자체가 일부를 부담하는 방안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자원순환보증금관리센터에 따르면 무인 회수기 설치 시 빈병 회수량은 4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