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참조 / 인상된 빈병 보증금…현장선 '갈팡질팡'
페이지 정보

본문
[앵커]
올해부터 맥주나 소주병 같은 빈병을 돌려주고 받는 보증금이 올랐습니다. 환경부는 보증금을 올려서라도 빈병을 재활용하자는 취지인데 과연 소매점에서 빈병 수거가 잘 되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기자]
자원 절약을 위해 환경부가 지난 2003년부터 시행해온 빈병 보증금 환불 제도.
이 빈병 보증금이 올해 제조된 병을 기준으로 소주는 40원에서 100원으로, 맥주는 50원에서 130원으로 올랐습니다.
회수를 더 많이 해서 재사용하기 위한 취지로 이처럼 보증금이 오른 건데, 인상된 지 한 달이 넘은 지금 과연 빈병들이 잘 모이고 있을까요?
빈병 무인 회수기가 있는 서울의 한 대형마트입니다.
[스탠딩]
작년에 제작된 병과 올해 제작된 병입니다. 총 140원의 보증금을 받아야 하는데 무인 회수기를 이용해보겠습니다. 회수기가 신병을 인식하지 못한 탓에 80원이 나왔는데, 남은 차액을 받으려면 고객서비스센터로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시내 대형마트 200여 곳에 도입된 무인 회수기는 단 7곳.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직원의 도움을 거쳐야 하는 곳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무인 회수기 이용 시민]
"되게 불편하잖아. 이게 잘 안 먹으니까. 사람이 없으니 망정이지 기다리는 사람 많아봐 그럼 어떻게 할 거야."
이번엔 편의점에 가봤습니다.
계산대에 보증금 환불에 관한 안내 표지가 있는 곳도 있지만, 5곳 중 2곳은 귀찮다며 빈병을 안 받거나 교환 시 반드시 영수증이 있어야 한다며 환급을 거부했습니다.
[S 편의점 관계자]
"저희는 일단 안 하는데… 수거를 안 해요."
[C 편의점 관계자]
"20개 안쪽으로 받거든요. 20개 넘으면 영수증 갖고 오셔야 돼요. 여기에서 샀다는 영수증이요."
서울시에 따르면 고객이 공병 환급을 요구할 때 영수증 없이 1인당 30병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
앞서 찾아갔던 대형마트와 편의점은 그나마 반환율이 좋은 편이었지만, 동네 슈퍼들은 반환 시간을 특정하거나 제도 자체를 모른다며 보증금 환급을 거부했습니다.
[C 슈퍼 관계자]
"요일을 정해갖고 받아요. 목요일만 받거든요."
[D 슈퍼 관계자]
"저희는 판 거만 회수를 하고 웬만하면 회수를 안 해요."
"이쪽에서 산 건 돼요?"
"정확히 모르겠어요. 바뀌어가지고 어떻게 되는 건지…."
이런 식으로 보증금 환급을 거부하면 최대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단속 대상이 됩니다.
이처럼 동네 슈퍼마켓 등에서 빈병을 거부하는 이유는 관리가 번거롭기 때문입니다.
빈병 1개를 받았을 때 소매점에 떨어지는 취급수수료는 고작 10원인데, 그에 비해 보관할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김재웅 / 한국공병자원순환협회장]
"마트 쪽은 취급수수료가 소매상으로 구분돼서 10원씩 지급돼요 병당. 그 금액 가지고는 도저히 공간 확보도 그렇고 그렇다고 그 돈을 모으면서 직원들 월급을 줄 수도 없는 거고…."
소비자들이 소주나 맥주를 살 때 내고 돌려받지 못한 빈병 보증금은 지난해에만 100억 원 정도.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빈병 회수 정책은 현장에서 여전히 겉돌고 있습니다.
tbs 국윤진입니다.
올해부터 맥주나 소주병 같은 빈병을 돌려주고 받는 보증금이 올랐습니다. 환경부는 보증금을 올려서라도 빈병을 재활용하자는 취지인데 과연 소매점에서 빈병 수거가 잘 되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기자]
자원 절약을 위해 환경부가 지난 2003년부터 시행해온 빈병 보증금 환불 제도.
이 빈병 보증금이 올해 제조된 병을 기준으로 소주는 40원에서 100원으로, 맥주는 50원에서 130원으로 올랐습니다.
회수를 더 많이 해서 재사용하기 위한 취지로 이처럼 보증금이 오른 건데, 인상된 지 한 달이 넘은 지금 과연 빈병들이 잘 모이고 있을까요?
빈병 무인 회수기가 있는 서울의 한 대형마트입니다.
[스탠딩]
작년에 제작된 병과 올해 제작된 병입니다. 총 140원의 보증금을 받아야 하는데 무인 회수기를 이용해보겠습니다. 회수기가 신병을 인식하지 못한 탓에 80원이 나왔는데, 남은 차액을 받으려면 고객서비스센터로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시내 대형마트 200여 곳에 도입된 무인 회수기는 단 7곳.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직원의 도움을 거쳐야 하는 곳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무인 회수기 이용 시민]
"되게 불편하잖아. 이게 잘 안 먹으니까. 사람이 없으니 망정이지 기다리는 사람 많아봐 그럼 어떻게 할 거야."
이번엔 편의점에 가봤습니다.
계산대에 보증금 환불에 관한 안내 표지가 있는 곳도 있지만, 5곳 중 2곳은 귀찮다며 빈병을 안 받거나 교환 시 반드시 영수증이 있어야 한다며 환급을 거부했습니다.
[S 편의점 관계자]
"저희는 일단 안 하는데… 수거를 안 해요."
[C 편의점 관계자]
"20개 안쪽으로 받거든요. 20개 넘으면 영수증 갖고 오셔야 돼요. 여기에서 샀다는 영수증이요."
서울시에 따르면 고객이 공병 환급을 요구할 때 영수증 없이 1인당 30병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
앞서 찾아갔던 대형마트와 편의점은 그나마 반환율이 좋은 편이었지만, 동네 슈퍼들은 반환 시간을 특정하거나 제도 자체를 모른다며 보증금 환급을 거부했습니다.
[C 슈퍼 관계자]
"요일을 정해갖고 받아요. 목요일만 받거든요."
[D 슈퍼 관계자]
"저희는 판 거만 회수를 하고 웬만하면 회수를 안 해요."
"이쪽에서 산 건 돼요?"
"정확히 모르겠어요. 바뀌어가지고 어떻게 되는 건지…."
이런 식으로 보증금 환급을 거부하면 최대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단속 대상이 됩니다.
이처럼 동네 슈퍼마켓 등에서 빈병을 거부하는 이유는 관리가 번거롭기 때문입니다.
빈병 1개를 받았을 때 소매점에 떨어지는 취급수수료는 고작 10원인데, 그에 비해 보관할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겁니다.
[김재웅 / 한국공병자원순환협회장]
"마트 쪽은 취급수수료가 소매상으로 구분돼서 10원씩 지급돼요 병당. 그 금액 가지고는 도저히 공간 확보도 그렇고 그렇다고 그 돈을 모으면서 직원들 월급을 줄 수도 없는 거고…."
소비자들이 소주나 맥주를 살 때 내고 돌려받지 못한 빈병 보증금은 지난해에만 100억 원 정도.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빈병 회수 정책은 현장에서 여전히 겉돌고 있습니다.
tbs 국윤진입니다.
- 이전글[동영상] 참조 / 빈병보증금 인상, 빈병회수율 높일까?(서울경기케이블TV뉴스) 17.05.08
- 다음글[동영상]참조 / 2011년 환경부 빈병재사용 캠페인편 16.10.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